선택이 아닌 필수, 카페24 API 자동화 대시보드 구축 (1)

자사몰 데이터 분석,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위그로스's avatar
Apr 11, 2025
선택이 아닌 필수, 카페24 API 자동화 대시보드 구축 (1)
한국 이커머스 시장은 중국, 미국, 영국, 일본에 이어 세계 5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국 온라인쇼핑거래액은 2023년 역대 최고치인 228조8516억원을 기록하며 지속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한국 이커머스 시장 규모가 2026년 3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기존에는 온라인 소비가 주로 11번가·G마켓·SSG닷컴 등 이커머스 종합몰·오픈마켓에서 이뤄졌다면, 이제는 무신사·오늘의집·컬리·에이블리 등 전문몰과 브랜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자사몰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 티메프 사태의 여파로 이러한 변화가 급속도로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사몰 열풍은 식품, 가전, 가구 등 업종을 불문하고 다방면으로 확산되고 있는데요. 이제 자사몰을 운영하는 기업에게 데이터 분석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사용자가 어떻게 자사몰에 유입했는지, 회원가입한 고객의 데이터 그리고 매출 및 트래픽 데이터 등을 수집 및 분석해야하며, 이러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으로 매출 증대 및 고객 경험을 향상시켜 충성고객 유치까지 이어지는 효과적인 자사몰 운영이 가능합니다.
 
출처: 카페24 스토리
출처: 카페24 스토리
자사몰의 경우 독립몰 형태로 자체개발을 하거나, 카페24/아임웹/고도몰/메이크샵/플렉스지 등의 쇼핑몰 솔루션에 입점하여 웹사이트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국내 전자상거래 플랫폼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카페24는 저희 위그로스 클라이언트사 분들도 많이 쓰시는 임대형 쇼핑몰 솔루션입니다.
카페24의 장점은 초기 이용료나 가입비가 없고, 다양한 솔루션들과 쉽게 연동할 수 있는 호환성과 자유도 높은 Html/Css/Javascript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카페24 관리자센터를 통해 매출 데이터 및 매출 분석, 고객 분석, 상품 분석, 실시간 사용자 활동현황까지 다양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합니다.
 
 

카페24에서는 사용자 유입, 고객 분석, 판매 분석 등 데이터 분석을 어떻게 하나요?

카페24에서 어떻게 데이터 분석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지 안내드리겠습니다. 카페24 관리자센터에서는 자체적으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좌측 메뉴탭의 ‘통계’ 탭애서 확인이 가능한데요. 먼저 통계 대시보드에선 크게 ‘매출 분석, 상품 분석, 고객 분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집계 데이터는 화면별로 업데이트 주기가 다르며, 매 1시간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단, 네이버페이(네이버포인트 포함) 및 톡체크아웃, 오픈마켓의 경우, 결제완료한 금액만 반영되며 환불 처리된 금액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카페24에선 매출액, 순매출, 결제금액, 환불금액 등 명칭을 구분하고 있는데요. 온라인 커머스 특성상 실시간으로 주문/교환/환불이 이뤄지며, 적립금 및 예치금 그리고 네이버 포인트 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카페24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그 밖에 다른 용어가 궁금하시다면, 카페24 고객센터에서 확인해주세요.
순매출
결제합계(실 결제금액+적립금+예치금+네이버포인트) - 환불합계 (실환불금액+적립금+예치금)
오늘의 순매출금액
결제완료일이 오늘인 결제금액 - 환불완료일이 오늘인 환불금액
매출액
결제합계실제결제금액+적립금+예치금+배송비) * 매출액 제외 대상 : 환불, 교환, 취소 할인/쿠폰할인
결제금액
실 결제금액 + 적립금 + 예치금 + 네이버포인트
환불금액
실환불금액 + 적립금 + 예치금
 
매 1시간 마다 업데이트되는 오늘 상품 판매량 순위 TOP 10, 장바구니 담긴 순위 TOP10, 주간 취소/반품 순위 TOP 5 (수량), 주간 취소/반품 순위 TOP 5 (반품율) 등을 통해 웹사이트 내 상품 판매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일별/주별/월별/결제수단 별 매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otion image
고객분석 탭에선 요일별/시간대별 로그인 횟수, 신규가입자, 결제완료 상품수, 결제완료 상품금액, 환불완료 상품수, 환불완료 상품금액 등의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이 데이터를 토대로 고객의 활성 시간대를 분석해 유저 활성 시간대에 맞춰 카카오톡 메세지 또는 이메일/문자 등을 발송하여 마케팅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너무 늦은 시간이나 아침 일찍은 CRM 효율이 일반적으로 낮기 때문에, 해당 카페24 요일별/시간대별 데이터를 토대로 데이터 근거 기반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카페24 애널리틱스 데이터 분석

notion image
또한 카페24에서는 자체적으로 카페24 애널리틱스 를 제공합니다. 마치 구글 애널리틱스처럼 어떤 유입채널에서 성과가 있었는지, 마케팅 매체에서 성과가 있었는지 파악이 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카페24 애널리틱스에서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유입 분석 시 사용되는 'UTM Parameter'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UTM 파라미터는 사용자가 우리 웹사이트에 어떻게 유입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유입된 매체별 성과 추적을 가능하게 합니다.
 
UTM 파라미터는 대표적으로 다섯 가지 요소를 사용하며, utm_id 등 파라미터도 사용 가능합니다(선택사항).
  • utm_source: 유입 채널 - naver, google, facebook, instagram 등
  • utm_medium: 유입 매체 - cpc, display, email, social 등
  • utm_campaign: 캠페인명
  • utm_term: 광고그룹명
  • utm_term: 광고소재, 키워드명 - {{keyword}} 변수 삽입 가능
 
notion image
카페24 애널리틱스에서 채널 및 그룹(UTM 소스/매체)에 따른 캠페인, 키워드를 파악할 수 있으나, 일일히 클릭해서 파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위 방식의 주기적인 데이터 수집 방식을 요약해보면
  • 매일 오전 카페24 관리자페이지 접속 후 상품별 매출을 확인하고
  • 카페24 애널리틱스에서 접속하여 구글 광고·메타 광고·네이버 등 광고매체 채널 및 그룹(UTM 소스/매체)를 접속해 캠페인, 키워드 성과를 csv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서
  • 구글 광고·메타 광고·네이버 등 광고매체에 접속해 각 캠페인별 운영성과 파악 및 csv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서
  • 카페24 애널리틱스의 채널 및 그룹(UTM 소스/매체) 데이터와 광고매체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엑셀에 합쳐서 보고서를 정리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 구조에서는 누락이나 실수가 생기기 쉽고, 데이터를 일일이 확인하고 비교 분석하는 과정에서 업무 생산성도 떨어지게 됩니다. 더 큰 문제는, 이렇게 복잡한 구조 때문에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워지고, 매일 반복되는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시간을 많이 소모해서 결국 중요한 업무를 진행하지 못하고 인사이트를 놓칠 수 있다는 점입니다.
 
notion image
다음 글에서는 위 방식의 리스크를 해결할 수 있는 카페24 API를 활용한 자동화 보고서 구축에 대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마케팅 대시보드를 통해 불필요한 반복을 줄이면서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Google Sheets 내에 핵심 지표를 원하는 형태로 정리하여 가져오고, 이를 기반으로 광고 매체 성과와 직접 연결해 분석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합니다. 광고 매체 분석과 통합 보고의 연결 고리를 찾고 있는 기업이라면 실무에 즉시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페24 운영 데이터와 광고 매체 데이터를 따로 관리하고 계시거나, 일일히 캠페인별 성과를 정리하여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신다면, 저희 위그로스가 함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업무의 병목현상을 해결하는 첫 걸음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온라인 마케팅 서비스, 위그로스가 함께 고민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hare article

위그로스